메뉴 건너뛰기

사단법인 한국영화예술원

사이드메뉴

갤러리

김승옥 소설가 「서울. 1964년. 겨울」에서 한 일을 이만희감독님이 1968년 고스란히 <휴일> 영화에서 했다는 점의 대한 단상
“그 여자의 이름은 지연이었다. 우리는 언제나 일요일에 만나기로 돼 있었다. 그날도 마침 일요일이었다”라는 도입부의 보이스 오버에 따르면 <휴일>의 내러티브는 허욱의 과거, 정확히 말하면 지연이 죽은 특정한 일요일 하루에 대한 기억의 스토리이다. 흙바닥을 굴러다니며 간혹 카메라 앞으로 날아드는 휴지조각, 낙태를...
2025.09.05
<시대를 초월한 영화작가, 이만희감독 50주기전> 개막작 '휴일' Holiday
이만희 감독님이 향년 4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지 50년이 흘렀다. "당신은 포탄 속을 묵묵히 포복하는 병사들 편이었고, 좌절을 알면서도 인간의 길을 가는 연인들 편이었고, 그리고 폭력이 미워 강한 힘을 길러야 했던 젊은이의 편이었다." - 요절한 이만희감독에게 김승록 소설가가 헌정한 묘비명은 세대를 넘는 그들의...
2025.09.04
예술의 소멸과 기억의 회복. '휴일' Holiday 1968. 이만희감독 작품을 기다리다 문득 떠오른 단상.
- <휴일>의 57년, <깊은구지 마을 영화>의 미상영이 던지는 질문을 합니다!.. 2025년 9월 4일 오후 2시 30분. 나는 드디어 이만희 감독님의 1968년 작품 <휴일>을 스크린에서 만납니다. 검열관의 무지로 인해 ‘졸작’으로 낙인찍히느니, 영화제작자 홍의봉, 전옥숙 대표, 백결 시나리오 작가, 이만희 감독까지도 그 불합리함...
2025.09.02
부천에서 깊은구지 마을 영화 만들기(2014년~2015년)
기획의도 : 지역 주민들과 함께하는 영화 제작을 통해 부천시의 문화예술 역량과 공동체 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했다. 영화는 단순한 콘텐츠 생산을 넘어 마을 공동체의 기억과 삶을 기록하는 도구가 되며, 이를 통해 주민 참여형 문화예술 확산이 가능하다. 특히 깊은구지 마을 어르신들과 청년들, 아이들 간 세대 통합을 도...
2025.09.02
최초 한국영화사 통사 출간 영화사가 노만 회고록
최초 한국영화사 통사 낸 영화사가의 회고록 | [문학뉴스=백성원 영화전문 기자] 최초의 한국영화사 통사를 출간한 영화기자이자며, 영화사가(映畵史家)인 노만(魯晩)의 회고록이 나왔다.노만은 대학 1학년 시절인 1954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영화기자, 편집장, 편집주간으로 일했다. 그당시 노만이 활동한 영화잡지로는 ...
2025.08.14
정일성상임고문님 조수시절
2025.08.12
진고개모임
노만원장님, 정용탁교수님
2025.08.12
노만 원장님. 영화 스크린 잡지 창간스토리
2025.08.12
정일성상임고문님. 만다라 작품.
이 작품은 색보정을 내가 꼭 다시하고 싶다.
2025.08.11